본문 바로가기

Java28

자바 기초 배우기 12,13일차 [ Class, 상속, 생성자 ] 1.Class ​ 2. 생성자 ​ 3. 상속 ​ ​ ​ ​ ​ 1.Class 정의: 객체를 만들 수 있는 틀 객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 ​ ex) 붕어빵 클래스 객체 붕어빵 틀 붕어빵 ​ 클래스를 토대로 객체를 만들 수 있다 ​ 코드를 통해 알아보자 ​ ​ 클래스 생성 끝 클래스를 만들었다 매일 만들던 프로젝트-패키지- 속에 있는 클래스 그 클래스도 지금 알아보는 클래스(무언갈 만들 때 쓰는 틀)라는 것이다. ​ day 13_2 클래스 밖에 새로운 Animal ​ClassClass를 만들고 String name;name;이라고 문자열의 객체 변수라는 것을 만들었다. ​ ​ 이 객체 변수란 무엇이고 객체는 어떻게 만들고 쓰는 것인지 알아보자 끝 Animal 클래스로 pig라는 객체를 만들었다 여..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11일차 [ 메서드Method(함수), 오버로딩 ] 1. 메서드(Method) 함수 >정의 > 목적 > 구조 > 생성 방법 > 매개변수, return > 실행 예제 ​ 2. 오버 로딩 > 사용 목적 > 실행 예제 ​ ​ 3. 메서드 실습 ​ ​ ​ ​ 1. 메서드(Method) 함수 ​ [ Method 정의 ] 일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여러 개의 작업(명령)의 묶음 ​ ​ ​ [ Method 사용목적 ] 해야 할 작업들이 반복되서 사용해야 할 때 해야할 작업들을 묶어서 하나의 이름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그때 사용하는 게 메서드다! ​ ​ ​ [ Method의 구조 ] ​ -사용 메서드명(인자 값); ​ ​ ​-정의 접근 지정자 return타입 메서드명( 매개변수 ) { 작업 1; 작업 2; .... return 리턴 값; } ​ 호출부의 인자 값..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9,10일차 [ 배열,이중배열 ] 1. 배열 ​ 1) 배열이란? ​ 2) 생성, 불러오기, for문 활용 출력하기 ​ 3) 크기지정생성, 값 추가하기, 입력받아 값 추가하기 for문 활용출력하기 ​ ​ ​ 2. 이중 배열 1) 이중 배열이란? ​ 2) 초기화 생성, 불러오기, for문을 활용하여 출력하기 ​ 3) 크기 지정 생성, 값 추가하기, 입력받아 값 추가하기, for문을 활용하여 출력하기 ​ ​ ​ ​ ​ 1)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을 가진 요소들의 모음 ​ ​ ​ 2) 생성, 불러오기, for문 활용 출력하기 -초기화 생성 구조: 자료형 배 열명[ ]={ 갑 1, 값 2, 값 3...}; ​ -인덱싱 번호로 출력하기 구조:System.out.println( 배 열명 [ 인덱스 번호 ] ); ​ -for문 활용 출력하기 구조:아래..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8일차 [중첩반복문,조건문 실습예제 Thread.sleep] 1. 반복문을 활용한 구구단 출력 프로그램 ​ 2. 간단 코인 노래방 연출 프로그램 ​ 3.Thread.sleep ​ ​ ​ 1.for 반복문 활용 구구단 출력 ​ ​ ​ 2. 코인 노래방 연출 프로그램 -기능- ​ 1. 메인화면 출력 1) 코인 개수 출력 2)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 할 수 있도록 메뉴 출력 및 입력받기 ​ 2. 코인 충전 1) 충전금액을 입력 충전금액을 500으로 나눠서 몫 값은 코인으로 충전 나머지는 환급 2) 충전된 코인은 변수에 누적 ​ 3. 노래 재생 1) 노래 제목을 입력 2) 노래가 재생되는듯한 느낌 주기 3) 점수 표기 및 점수에 따른 메시지 출력 ​ 4. 끝내기 무한 반복문 종료 ​ ​ 1. 메인화면부 코드 ​ ​ 2. 코인 충전부 ​ ​ 3. 노래 재생부 ​ ​ ..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7일차 [ 중첩반복문 / .equals / .charAT() / .length()] 1. 중첩 반목 문 예제 ​ 2.. equals ​ 3.. length() ​ 4.. charAT() ​ ​ ​ 1. 중첩 반복문 구조: for ( ) { for( ) { } } 중첩 반복문은 반복문 안에 또 반복문이 존재한다 밖의 반복문이 반복될 때마다 안에 있는 반복문이 실행되는 것이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 예제 1. 실행 결과 ***** ***** ***** ***** "*" 이 가로로 5개가 출력되는걸 4번 반복한다. 이 예제를 중첩 반복문을 이용하여 만들어보자 초록색 밑 중이 밖의 반목 문이며 열의 출력을 담당하고 있다 for ( int i=0; i 5 ​ ​ ​ ​ ​ ​ ​ ​ ​ ​ ​ 4.. cahrAT() . charAT()는 문자열의 문자형들을 인덱스 번호로 불러오는 기능이다 x..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6일차 [ 반복문 while / do / for / 무한루프 / continue,break ] 1. while 문 ​ 2. do while 문 ​ 3. for 문 ​ 4.while문 vs for문 ​ 5. 무한루프 ​ 6. 실습 예제 ​ ​ ​ ​ [ 반복문(제어) ] 조건이 참일 때 계속적으로 반복할 작업이 있을 때 사용 ​ 사용목적: 비슷한 작업을 계속 적으로 반복해야 할 때, 제공해주는 문법(반복문)을 사용하여 명령을 더 효율적으로 내리는 것 ​ ​ ​ ​ 1.while 문 구조: while( 조건식 ) { 조건식이 참일 때 반복 실행할 작업 } ex) 1부터 5까지 증감하며 숫자를 반복 출력하라 ​ int x=1; while( x >반복할 작업이 실행되었으면 항상 마지막에 실행 ​ ​ ex ​ for( int i=1; i 증감 > 초기-조건 > { }실행 > 증감 ​ ​ 4.while vs..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5일차 [ 조건문(If) (else) (switch)] 1. 삼항 연산(04일 차 복습) 조건문 ​ ​ 2. 조건문 1) if 문 2) switch 문 ​ 3.if문 switch문을 활용한 예제 1) 가위바위보 게임 2) cafe주문 입력, 응답 만들기 ​ ​ ​ ​ 1.삼항 연산 조건문 삼항 연산자 >> (조건식)?"true출력 값":"false출력 값"; 를 활용 asnswer 변수가 sign==1이라면 "Go!" 아니라면 "Stop!" answer 변수 출력 ​ ​ ​ 2. 조건문 [조건문] 사용목적: 조건에 따라 결과를 다르게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 ​ ex1) 비가 오는가? true:우산 챙기기 false:그냥 나가기 ​ ex2) 80점 이상? true"합격" false"불합격" ​ ​ 1) if문 ​ (1) if - else 문 ​ if(조건식) {.. 2020. 1. 4.
JAVA자바 기초 배우기 4일차 [ 연산자 ] 연산자의 종류(8) 1. 단항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3. 비트 논리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5. 비트 쉬프트 연산자 6. 대입 연산자 7. 증감 연산자 8. 삼항 연산자 ​ ​ ​ ​ ​ 1.단항연산자 항 = 피 연산자 -x - 2와 같이 피 연산자가 1개 인 것 ​ 2. 산술 연산자 +, -, *, /, %(나머지 연산자) ​ 사칙연산은 흔히 쓰는 기호와 같고 % 는 나머지 값을 구해준다 ex) 5%2=1 각 연산과 그 결과이다. 빨간 밑줄을 보면 3/2=1.5인데 1이 나온 이유는 자바에서 정수와 정수를 나눴을 때 값도 정수로 표기되기에 1만이 출력된 것이다 쩜 오빠가~ ​ ​ ​ ​ 3. 비트 논리 연산자 ​ ​ ​ 1:True 0:False 이름 연산자 의미 AND & 둘 다 1일 때 1 >.. 2020. 1. 4.
자바 기초 배우기 3일차 [ Scanner - 입력 메서드, JOptionPane ] 1.Scanner - 입력 메서드 1). Scanner 기능 불러오기 2). Scanner메서드 이용 값 입력받기 ​ 2.JOptionPane 1). JOptionPane 기능 불러오기 2) JOptionPane 기능 활용한 출력 3) JOptionPane 기능 활용한 입력 ​ ​ ​ ​ ​ 1. Scanner - 입력 ​ 1). Scanner 불러오기 명령어 Scanner sc = newScanner(System.in); 스캐너 기능을 sc라는 변수에 담아서 좀 더 편하게 사용하고자 Scanner sc = newScanner(System.in);라고m.in); 변수를 대입해주는데 이때 빨간 박스를 보면 Scanner라는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걸 볼 수 있다 아직 Scanner를 불러오지 않았기 때문 .. 2020.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