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JAVA 문법

JAVA자바 기초 배우기 4일차 [ 연산자 ]

by lchit 2020. 1. 4.

연산자의 종류(8)

1. 단항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3. 비트 논리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5. 비트 쉬프트 연산자

6. 대입 연산자

7. 증감 연산자

8. 삼항 연산자

1.단항연산자

항 = 피 연산자

-x - 2와 같이 피 연산자가 1개 인 것

2. 산술 연산자

+, -, *, /, %(나머지 연산자)

사칙연산은 흔히 쓰는 기호와 같고

% 는 나머지 값을 구해준다 ex) 5%2=1

각 연산과 그 결과이다.

빨간 밑줄을 보면 3/2=1.5인데 1이 나온 이유는 자바에서 정수와 정수를 나눴을 때

값도 정수로 표기되기에 1만이 출력된 것이다 쩜 오빠가~

3. 비트 논리 연산자

1:True

0:False

이름

연산자

의미

AND

&

둘 다 1일 때 1 > ( 둘다 참일 때 결과는 참 )

OR

| (Shift + \)

둘 중 하나라도 1일 때 결과는 1 ( 둘 중 하나라도 참일 때 결과는 참 )

XOR

^

두 숫자가 다를 때 1

NOT

~

~ 가 아니라면 0 > 결과: 1 , 1 > 결과: 0

명령어:Integer.toBinaryString();

>>10진수를 2진수로 바꿔준다

AND & 둘 다 1일 때 1 > ( 둘다 참일 때 결과는 참 )

OR | 둘 중 하나라도 1일 때 1 > ( 둘 중 하나라도 참일 때 결과는 참 )

XOR ^ 두 숫자가 다를 때 1 ex) 1 xor 0 = 1

NOT ~ ~ 가 아니라면 0 > 결과: 1 , 1 > 결과: 0

(NOT 연산 공식 : ~A = A-1)

> 컴퓨터는 음수를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음수를 표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부호 비트: 최상위 비트 = 1 > 음수 2 > 양수

음수를 구해서 어떤 연산의 NOT 연산이 음수가 나오는지 확인

*ex) x=3 : 0011

y=2 : 0010

and : 0010 = 2

OR : 0011 = 3

XOR : 0001 = 1

4. 논리 연산자

결괏값: 참, 거짓 (boolean)

조건들이 있을 때 조건들의 연산

조건 : A, B

이름 연산자 의미

and A&&B 두 조건이 다 참이어야 참이다

or A||B 두 조건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not! A 참이면 거짓, 거짓이면 참

5. 비트 쉬프트 연산자

Integer.toBinaryString(변수) > 정수를 2진법으로 바꿔준다.

x=3, y=2

Left Shift x<<n: x를 n만큼 왼쪽으로 비트 이동

Rigtht Shift x>>n: x를 n만큼 오른쪽으로 비트이동

x = 4 : 0100

x<<1 : 1000 = 8 ( 왼쪽으로 밀어내기 비워진 뒷자리는 0으로 채운다)

x>>1 : 0010 = 2 ( 오른쪽으로 밀어내기 비워진 뒷자리는 0으로 채운다)

6. 복합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 대입 연산자가 합쳐진 것

c = 5

c+ = 3; ("c값에 3을 더해 다시 c에 대입하라)

변수> 산술 연산자> 값

변수의 값을 누적시킬 때 사용

7. 증감 연산자

x+=1 >> x++

x-=1 >> x--

전위형 증감 = ++x (x를 먼저 1 증가시켜라)

후회형 증감 = x++ (다른 거 하고 마지막에 1 증감시켜라)

8. 삼항 연산자

(조건식)? true일 때 나올 값 : false일때 나올값

ex) 2 <3? "true값":"false값"